즐거운 편지 - 황동규
[반어법. 누군가를 애처롭게 사랑하고 그리워하고 기다리는 모습은,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괴로워 보여도 '나'에게는 행복이고 즐거움일 것이다.]
- 1 -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매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
['나'는 사소한 배경처럼 항상 그대 곁에 머물면서 그대가 어렵고 힘이 들 때 작은 힘이지만 그대를 돕겠다. 항상 그대를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며, 당연한 일이다.]
- 2 -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닿은 그 기다림으로 바꾸어버린 데 있었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나'의 외롭고 고통스러운 마음에 그대에 대한 사랑이 시작되었다.
눈을 사용한것은 사랑을 좀더 현실적이고 진솔하게 표현하고자한 시인의 의도인 듯하다.
즉, 사랑이 지속적인 강도로 계속 유지된다기 보다는 봄,여름,가을,겨울의 계절변화처럼 따스한 사랑,격정적인 사랑,사랑의 절정,눈이라는 시련으로 인한(여기서 시련은 지쳐버린 기다림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시들해진 사랑,이런식으로 늘 마음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눈은 기다리는 화자를 더욱더 힘겹게 하는 사랑의 장애물이다. 결국 화자가 사랑이 그칠 것을 믿는다고 하였듯 현실적으로 영원한 사랑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화자는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한다(즉, 시들해진 기다림의 의지를 다시 굳힌다.)는 표현을 마지막에 넣음으로써 한편으로는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는 아이러니를 자아내게 되는 것이다.역설법. 모순되는 일의 반복이 일어나고 있다.]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뿐이다.
[내 사랑이 끝난다 해도 그대를 사랑했던 그 기다림의 자세는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그리고 그대를 영원히 사랑할 것이다.]
그 동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지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내 기다림은 계절의 변화처럼 다소 변할 수는 있으나 계절이 반복되듯이 영원할 것이다.
앞선 부분과 이어 역설법. 눈이 퍼부어 사랑이 끝나는데 그것은 다시 그치고 또다시 영원한 사랑을 말하고, 다시 꽃이 피고(사랑하고) 눈이 퍼붓는(사랑이 끝나는) 것들의 꼬리를 무는 역설적 표현]
==========================================================================
갈래 : 산문시, 서정시
운율 : 내재율, 산문율
제재 :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과 기다림
성격 : 서정적, 고백적, 사색적, 의지적
주제 : 기다림을 통한 이별의 정한 극복, 영원한 사랑
심상 : 시각적 심상
특징
1. 줄글(한문에서, 구나 글자 수를 맞춪 아니하고 죽 잇따라 지은 글)로 이루어진 산문시
2.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대상에 대한 간절하고 애틋한 그리움의 정서가 담긴 시
3. 반어적 표현으로 살아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기다림으로 극복하겠다는 시적 화자의 마음을 절실하게 표현.
4. '그대, 사랑, 기다림' 등의 시어 반복과 '~것을 믿는다'의 완결된 문장 구조의 반복으로 운율을 느낄 수 있다.
5. 형식상 특징은 산문적인 시로 2연 5개의 문장으로 되어있으며, 서정적 내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호흡의 단위를 구나 행에 두지 않고 문장 또는 문단에 두었다. 특히 1연은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어 호흡을 끊기 어렵고 행의 구분이 없어 음보로 나누기 어렵다. 시인이 이러한 형식을 취한 의도나 시적 효과를 노린 이유는 긴 장문의 글인 "편지" 와 연관이 있어 보이며, 제목이 "즐거운 편지" 이기 때문에 편지의 이미지와 형식을 살리기 위하여 행의 구분을 두지 않고 산문시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
사랑과 기다림을 주된 제재로 삼아,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늘 새롭게 만들어지는 기다림을 통해 극복해나가겠다는 사랑의 굳은 의지를 노래하고 있다. 이루지 못할 사랑으로 인한 젊은 날의 그리움과 안타까움을 때묻지 않은 시각과 감성이 풍부한 서정적인 어조로 형상화한 낭만적·우수적 성격을 띤 서정시이다. 작가 개인의 서정적 관심을 바탕으로 객관성보다는 주관적인 의표를 표출하는 데 중점을 둔 이미지즘적 표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연에서는 반어적 표현법을 사용해 그대를 생각하는 시적 화자의 마음이 얼마나 절실한 것인가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부분과 시적 표현에서 유사성을 지닌 작품으로 김소월(金素月)의 시 《먼 후일》이 있다.
제2연에서 시인은 본질적인 사랑의 영속성을 믿기보다는 사랑이란 내리는 눈과 같아서 시간이 흐르면 반드시 그치는 때가 있는 것이므로, 늘 새롭게 만들어가야 한다는 실존주의적인 생각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뿐이다.’라는 섬세한 파격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시인은 그러한 조건을 모두 인정하면서 기다림이라는 변함없는 정서를 바탕으로 그대를 사랑한다고 노래한다.
================================================================================
역설과 반어>> 어디에서 그것을 찾아볼 수 있는가?
많은 사람들이 이 시의 제목을 두고서 역설법이다 반어법이다 많이 언투하는 것을 보았지만,
이전의 글에서도 참조해 글 올렸 듯, 역설은 "있을 수 없는 일을 시적 효과를 노려 쓴 것" 이고,
반어는 "실제와 반대되는 이야기를 쓴 것" 이다.
즉, 제목 자체의 [즐거운 편지] 는 어디까지나 반어법인 것이다.
편지가 즐거울 수는 있다. 즉 즐거운 편지라는 자체는 역설적이지 않은 것이다.
반어법인 이유에 대해서는 시의 내용과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다.
시의 제재는 이미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에 대한 기다림이다. 이루어지지 못하는 사랑이 즐거운 사람은 그 누구라고 해도 존재하지 않는다. 함께 사랑하는 편이 훨씬 행복하다는 것을 모두가 아는 사실에서, 단지 이루어지지 못하는 사랑의 기다림이 즐겁다고 말하는 것은 틀림없는 반어적 표현이다.
역설법은 2연에서 전체적으로 이어져 꼬리물기 식으로 전개되어 있다.
쉽게 말하자면, 사랑한다>기다린다>사랑이 끝난다>다시 변함없이 사랑하게 된다 라는 식이 반복되는데, 그것이 사랑하면서 눈이 내리고(사랑의 시련/끝을 의미함) 기다림에 지치면 다시 봄이 오고 꽃이 피고(사랑의 시작/변함없는 사랑을 의미함) 라는 역설적인 상황이 반복됨으로써 알 수 있다.
시 내에서의 의지적 표현>>
이 시는 의지적인 자신의 생각을 고백적으로 담은 시이다.
그 어떤 시련이 있어도 그대를 사랑하고 기다리는 것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1연에서는 ~하리라. 라는 부분,
2연에서는 ~것을 믿는다. 라는 문장이 반복되면서 그 의지를 표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평과 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슬픈 모나리자 / 송영욱 (0) | 2011.01.20 |
---|---|
[스크랩] 해동문학과 정광수 선생님(수정보완) (0) | 2010.12.06 |
[스크랩] 진동규 시집 발간 /전북중앙신문 (0) | 2010.11.29 |
[스크랩] 진동규 시집 발간 /전북중앙신문 (0) | 2010.11.29 |
[스크랩] 진동규 시집 발간 /전북중앙신문 (0) | 201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