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시조

[스크랩] 다시쓰는 광화문(서울신문 칼럼)

영관님 詩 2010. 3. 29. 19:55

[최태환칼럼] 다시 쓰는 ‘光化門’

서울신문

▲ 최태환 수석논설위원
북악(北岳)이 옹색하다. 조선 왕조의 주산(主山)이다. 정궁 경복궁을 품었다.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보면 정상 부분만 드러난다. 광화문 복원 가림막 때문이다. 올봄엔 진달래 군락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 산중턱을 분홍띠로 물들였던 진달래다.
 

광화문 복원공사를 시작한 지 6개월여 됐다. 아침 저녁 그 앞을 지난다. 가림막이 익숙하다. 장식 그림이 독특하다. 빛바랜 옛 광화문 주변 풍경과 색색의 세로 바가 어우러졌다. 경복궁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형상화했다고 한다.

가림막 안으로 들어섰다. 철거 작업이 막바지다. 콘크리트 구조물이 속살을 드러냈다.‘광화문’ 현판은 벌써 내려졌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재직 때 쓴 글이다. 새로 건축되는 광화문과는 인연을 맺지 못한다. 국립 고궁박물관에 보관한다고 한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박정희 현판’의 폐기를 발표했다. 광화문 복원 일정을 정리하면서다. 박정희 유산 지우기의 천명이었다. 하지만 원래 현판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새 현판 글씨는 정해지지 않았다. 유홍준 청장은 “우리시대 최고 명필에게 글씨를 맡기겠다.”고 했다.30년의 역사는 지우고, 새 역사를 만들겠다는 뜻이었다.

우리시대 최고의 명필? 당시 이런저런 사람을 떠올렸다. 여초? 일중? 동강? 최고봉의 명필들이다. 하지만 얼마전 여초 김응현 옹이 작고했다. 그는 추사 김정희, 검여 유희강, 소전 손재형으로 이어진 명필 계보의 계승자다. 그는 2003년 광개토대왕 비문을 옮기는, 대작을 완성했다. 와병 중에 “광화문 현판은 반드시 쓰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문화재청이 염두에 뒀을 만한 인물이다.

 

일중 김충현도 앞서 지난 연말 세상을 떴다.3대 명필이라는 명성을 얻은 이 중 동강 조수호만 남았다. 그는 행서(行書)에 능했다. 행서가 현판 글씨에 적절할지 의문이다. 그리고 그는 서예에서 미술로 옮겼다. 지금 문자 추상전을 갖고 있다. 또 누가 있을까. 문화재청장의 ‘당대 명필’ 발언이 새삼 머쓱하게 다가온다. 과거 청산 조급증이 부른 경솔함이 아니었을까. 좀 더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게 옳았다. 광화문 복원공사는 아직 한참이나 남았다.

 

문화재청은 한때 집자(集字)를 주장했다. 정조대왕 등 조선시대 인물의 글 가운데 ‘光’‘化’‘門’자를 모으겠다는 아이디어였다. 난센스다. 동일인의 글씨라도 그렇다. 어제와 오늘 글씨의 분위기가 다르다. 더구나 작은 글씨나 세필을 확대한다고 큰 글씨의 느낌이 오는 것은 아니다. 옹색하기 그지없는 발상이다. 서예를 조금이라도 안다면 기본이 안 되는 소리였다.

 

문화재 복원이나 복구에서 경향성을 보여선 곤란하다. 이벤트에 집착하거나 시류에 민감해선 의미를 살리기 어렵다. 또 다른 논란을 부를 뿐이다. 지난해 보신각종 신종 주조 논란도 그 중 하나였다. 유홍준 청장이 느닷없이 들고 나왔다. 종의 울림이 시원찮다고 했다. 지금 종은 군사정권 시절 만들었다. 국민 성금으로 주조했다. 일부 학자들이 반발했다. 맥놀이를 검증했다. 문제가 없음을 입증했다. 그러자 슬그머니 철회했다. 군사정권 유산 지우기 이벤트 정도로 생각했던 듯하다.

 

광화문 새 현판은 어떤 모습이 될까.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힘이 담기길 소망한다. 그리고 더이상 논란 속에 뜯기는 아픔이 없었으면 한다. 제2, 제3의 여초가 이뤄 낼 것으로 기대한다.

수석논설위원 yunjae@seoul.co.kr

출처 : 서예세상
글쓴이 : 三道軒정태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