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에티켓

[스크랩] [붉은악마] 그리고 남 아프리카 공화국 화이팅!

영관님 詩 2013. 4. 30. 21:02

 

 

 

넬슨 만델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넬슨 롤리라라 만델라 (Nelson Rolihlahla Mandela, 1918년 7월 18일 - )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평등 선거 실시 후 뽑힌 최초의 대통령이다. 대통령으로 당선되기 전에 그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 지도자로서 反-아파르트헤이트운동 즉, 남아공 옛 백인정권의 인종차별에 맞선 투쟁을 지도했다.

반역죄로 체포되어 종신형선고 받았으나, 26년 만인 1990년 2월 11일에 출소했다. 1994년 4월 27일 실시된 선거에서 ANC는 62%를 득표하여 ANC의 지도자인 넬슨 만델라는 1994년 5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취임하였고 진실과 화해위원회(TRC)를 결성하여 용서와 화해를 강조하는 과거사 청산을 실시했다. TRC는 성공회 주교데스몬드 투투 주교가 참여하였으며, 수많은 과거사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인종차별 시절 흑인들의 인종차별 반대투쟁을 화형, 총살등의 잔악한 방법으로 탄압한 국가폭력 가해자가 진심으로 죄를 고백하고 뉘우친다면 사면하였으며, 나중에는 경제적인 보상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피해자 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피해자 무덤에 비석을 세워줌으로써,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의 국가폭력 피해자들이 잊혀지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저서로 뉴욕 타임스가 뽑은 20세기 최고의 책에 선정된《자유를 향한 긴 여정》이 있다.

1995년 영국 명예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honorary Member of the Order of Merit).

//

[편집] 생애

로빈 섬의 돌무덤

[편집] 반 아파르트 헤이트의 투사

1918년 7월 18일 그는 트란스케이 수도, 움타타 지구에 위치한 작은 마을, 음베조에서 태어났다.[1] 1832년에 사망한 그의 증조부 응구벵쿠카인코시 엔크훌루 혹은 군주로서 템부 족을 다스렸던 추장이었다.[2] 만델라라는 이름의 증조부 아들 중 한명이 넬슨의 할아버지가 되었으며 그의 성씨의 출처가 된다. 만델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케이프 주 트란스케이를 통치한 템부 부족의 분파에 속한다.[1]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재학중인 1944년아프리카 민족회의》(ANC)에 들어가 그 청년동맹을 설립하고, 청년동맹 집행 위원을 취임하여 반 아파르트 헤이트 운동을 벌인다. 이후 1950년, ANC 청년동맹 의장으로 취임한다.

1952년 8월에 요하네스버그에서 올리버 탄보와 함께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한다. 그 해의 12월에 ANC 부의장 취임하여, 1961년 11월, 《움콘트 웨 시즈웨》(민족의 창)라고 하는 군사 조직을 만들어 최초의 사령관이 된다. 그러한 활동으로 1962년 8월에 체포된다. 1964년에 국가 반역죄 종신형을 선고받아, 《로빈 섬》에 수감되게 된다. 1982년, 케이프타운 교외의 《포르스모아 형무소》로 이감되었다.

[편집] 민족 화해의 상징

넬슨만델라와 빌 클린턴

1989년 12월 당시 대통령이었던 프레드릭 데 클라크와 회담을 통해, 1990년 2월 11일 석방된다. 석방 후 ANC 부의장으로 취임한다. 데 클라크와 예비 회담 시에는 ANC 대표로 참석했다.

1991년, ANC 의장에 취임하였고, 데 클라크와 협력하여 모든 인종 대표가 참석한 민주 남아공화국 회의를 두 번 개최하였고, 또한 다당 협상 포럼을 열어, 임시 정부 잠정 헌법을 만들었다. 이 10월 5일, 베이징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1993년 12월 10일에 데 클라크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1994년 4월 남아공화국 최초의 모든 인종이 참가 총선이 실시되었다. ANC가 승리하고, 넬슨은 대통령에 취임했다. 잠정 헌법의 권력 분배 조건에 따라 연립 정권을 세워 국민 통합 정부를 수립했다. 넬슨은 민족 화해 협력을 호소하면서, 인종차별 체제 하에서 흑백의 대립과 격차의 시정하려고 노력을 했고, 흑인 간 충돌의 해소, 경제 불황을 회복하는 부흥개발 계획 (RDP)을 공개했다.

1997년 12월 ANC 전당 대회에서 넬슨은 의장의 자리를 부통령 터보 음베키에게 양보한다. 1999년 2월 5일 국회에서 마지막 연설을 했다. 같은 해 열린 총선을 계기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편집] 은퇴 후

2000년 1월 19일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처음으로 연설을 실시했다. 2001년 7월 전립선암이 발견되었고, 7주간의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2005년 1월 7일에 전처 위니와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 마카토 만델라가 에이즈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것을 공개했다. 현재 유네스코 친선 대사로 일하고 있다.

[편집] 연보

  • 1919년 7월 18일 - 트란스케이 움타타에서 템부족(族) 족장의 아들로 태어남.
  • 1934년 1월 - 클라크뷔리 중등학교에 입학해 백인중심의 교육을 받음.
  • 1940년 - 포트 헤어 대학에서 네덜란드 법학을 전공하던 중 학생운동을 하다가 퇴학당함.
  • 1941년 - 정략결혼을 피해 요하네스버그로 감. 다양한 일을 전전하다가 법률사무소에 근무하며 독학으로 법률 공부 증진함.
  • 1943년 -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에 입학.
  • 1944년 1월 25일 - 다니엘 밀란에 의해 '아파르트헤이트'라는 용어가 남아프리카 국회에서 최초로 표명.
  • 1948년 - 스머츠 장군이 이끄는 연합당과 다니엘 밀란이 당수인 국민당이 선거에서 경합을 벌여 국민당이 승리했다. 이후 백인종의 안전과 기독교 문명을 보장하겠다는 명분하에 아파르트헤이트원칙이 본격적인 인종차별정책으로 이어짐.
  • 1952년 - 만델라는 정식 변호사가 되어 비백인(非白人)으로는 처음으로 요하네스버그에 법률상담소를 열고,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반대하는 등 본격적인 흑인인권운동에 참여하게 됨.
  • 1956년 12월 5일 - 시민 불복종 캠페인, '자유헌장'작성등 관련해 반역죄로 체포당함. 요하네스버그의 마셜 스퀘어 감옥에 수감됨. 이 무렵 첫번째 아내 에블린 메이즈와 이혼했다.
  • 1957년 - 남아프리카 국민당은 동등 직업에서 흑인이 백인 대신 복무할 수 없고, 계서상 백인보다 우위에 있는 자리를 맡을 수 없다는 두가지 원칙을 제안하다. 뒷날, 남아프리카 국민당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 1959년 4월 - 로버트 소부퀘를 당수로 범아프리카 회의가 출범.
  • 1960년 3월 - 범아프리카 회의가 주도한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경찰이 발포해 67명이 사망, 400명이 부상당하는등 유혈사태 발생. 이를 계기로 만델라는 평화시위운동을 중단하고 무장투쟁 노선에 착수한다.
  • 1960년 3월 30일 - 3월 30일에 긴급사태 선포 직전 두번째로 체포되어 수감된다. 한편, 이무렵 만델라와 두번째 부인 위니 사이에 둘째 딸 찐지스와가 태어났다.
  • 1961년 3월 29일 - 반역죄 재판 종결되다. 검찰이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이적성과 폭력성을 증빙하지 못했다는 판결이 내려짐.
  • 1961년 6월 - 만델라는 무장투쟁으로 선회를 제안하고 그안이 루툴리 대장에 의해 승인되다.
  • 1962년 2월 - 아디스 아베바에서 열린 범아프리카 회의에서 신생 독립국을 대상으로 '국민의 창'에 적극 동참해달라는 대의를 천명하다.
  • 1962년 8월 - 요하네스버그의 은신처로 돌아가던 중, 거주지 명령 위반 및 사보타주 혐의로 체포되다.
  • 1962년 10월 15일 - 시나고그에서 열린 재판에 코사족 전통의상인 카로스를 착용하고 참석해 아프리카 정신을 고취하려 했다. 그러나, 판결 결과 반란선동에 대해 3년형, 허가 없는 거주지 이탈에 대해 2년의 강제노역을 선고받고 프리토리아 형무소에 수감.
  • 1963년 5월 - 에스퀴티니섬의 로벤 아일랜드 감옥으로 이감되다.
  • 1964년 6월 11일 - 만델라를 포함한 아프리카인 6명, 인도인 1명, 백인 1명이 종신형 선고받음.
  • 1965년 - 로벤 아일랜드 감옥으로 귀환하다. 이후 27년간 이곳에서 복역하기에 이른다.
  • 1968년 - 로벤 아일랜드 감옥에서 만델라는 50살 생일을 맞았다.
  • 1969년 5월 12일 - 만델라의 올랜도 자택에서 부인 위니 만델라가 체포, 수감되다. 이무렵 장남인 템비가 트란스케이에서 교통사고로 사망.
  • 1976년 - 교도소를 총 관할하는 지미 크루거가 만델라를 방문해 반투스탄 정책에 대해 회유하나 만델라는 이를 거절했다.
  • 1985년 1월 31일, 의회에서 피터르 빌렘 보타는 폭력을 정치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다는 조건하에 만델라를 석방하자고 제안.
  • 1988년 7월 - 넬슨 만델라는 감옥에서 70살 생일을 맞이했다. 끝없는 협상으로 인한 과로로 폐결핵 초기라는 진단이 내려지고 수술을 받는다. 12월 9일에는 빅토르 페르스테르 감옥 내부의 별장으로 이송되어 특별대우를 받는다.
  • 1990년 2월 2일 - 의회의 개회식에서 데 클레르크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범아프리자주의자 회의, 남아프리카 공산당을 위시해 31개의 불법 조직에 대해 내려진 금지령을 철회하고, 사상범의 석방과 사형 중지를 선포한다. 2월 11일에 넬슨 만델라는 27년간의 수감 생활을 마치고 출감한다. 그뒤 만델라는 아프리카, 인도, 유럽등을 순방한다.
  • 1990년 6월 26일 - 미 의회 연설에서 넬슨만델라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입장을 천명하다.
  • 1991년 7월 - 더번에서 30년만에 최초로 아프리카 국민횡의 전국회의가 개최. 만델라는 만장일치로 의장에 선출된다. 이후 만델라는 실용주의 노선으로 선회하여 데 클레르크의 백인정부와 협상을 벌여 350여 년에 걸친 인종분규를 종식시킨다. 토지법, 집단 지역법, 인종 등록법이 폐지되고 아파르트헤이트가 폐지된다.
  • 1991년 12월 20일 - 민주 남아프리카를 위한 공회(CODESA)가 개최되어 정부와 아프리카 국민회의의 포럼이 시작되다.
  • 1993년 6월 3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로 1인 1표제에 입각한 민주적인 선거가 1994년 4월 27일에 실시될 것이 결정되다. 만델라는 아파르트헤이트 폐지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평화상을 수상받았다.
  • 1994년 4월 27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 참여 자유 총선거가 실시. 65%의 압도적인 지지를 획득한 만델라는 5월 10일에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이는 46년간 걸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실질적으로 마감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 1995년 - '자유를 향한 머나먼 여정' 출간.
  • 1996년 3월 - 3년간의 별거 끝에 위니 만델라와 이혼 수속을 시작, 동시에 새로운 민주주의를 위한 헌법 제정을 주도함.
  • 1997년 - 남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의 의장으로서, 민주주의를 거부하는 스와질란드잠비아에 대한 제재를 제안하다. 동시에 만델라는 아프리카 국민회의 의장에서 퇴임한다.
  • 1998년 - 그사라 마셀 여사와 결혼식을 올린다.
  • 1999년 2월 5일 국회에서 마지막 연설을 했다. 같은 해 열린 총선을 계기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 2002년 6월 8일 -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등 인권운동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프랭클린 루즈벨트 4개 자유상' 수상받았다.
  • 2004년 5월 11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민주화 10주년을 기념, 의회에서 연설함.
  • 2005년 첫번째 부인과의 사이에 출생한 외아들이자 장남인 마카토 만델라가 에이즈로 사망.
  • 2007년 7월 - 89살 생일을 맞이한다. 은퇴한 세계 지도자들의 모임인 세계원로회의 출범을 선포하다. 여기서 지미카터, 코피아난, 매리 로빈슨 등등 전직 지도자들이 총 망라돼 있다.

[편집] 참고

  1. South Africa: Celebrating Mandela At 90. AllAfrica.com (2008년 7월 17일).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
  2. Meer, Fatima (1990년 3월 16일). Book Review - Higher than Hope. Entertainment Weekly.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

[편집] 함께 보기

===========================================================================

 

 

남아프리카 공화국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public of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기
(국기)
표어: !ke e: ǀxarra ǁke
(다양한 국민들의 단결)
국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위치
수도 프리토리아(행정)
블룸폰테인(사법)
케이프타운(입법)
공용어 아프리칸스어, 영어반투어군 소속 9개 언어1
정부 형태 공화정
제이컵 주마
칼레마 모틀란테
독립
 • 남아프리카 연방
웨스트민스터 헌장
공화국 수립
영국으로부터 독립
1910년 5월 31일

1931년 12월 11일

1961년 5월 31일
면적
 • 전체
 • 내수면 비율
 
1,221,037㎢ (25위)
거의 없음%
인구
 • 2007년 어림
 • 2001년 조사
 • 인구 밀도
 
48,600,000명 (25위)
44,819,278명
39명/㎢ (136위)
GDP (PPP)
 • 전체
 • 일인당
2005년 어림값
$663,95 billion (18위)
$13,845 (57위)
HDI
 • 2006년 조사

0.670 (125위)
통화 랜드 (ISO 4217:ZAR)
시간대
 • 여름 시간
SAST (UTC+2)
없음 
ISO 3166-1  710
ISO 3166-1 alpha-2  ZA
ISO 3166-1 alpha-3  ZAF
인터넷 도메인 .za
국제 전화 +27
1아프리칸스어, 영어반투어군에 속하는 남소토어, 남은데벨레어, 벤다어, 북소토어, 스와티어, 줄루어, 총가어, 코사어, 츠와나어 등 총 11개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南-共和國, 영어: Republic of South Africa, RSA, 아프리칸스어: Suid-Afrika)은 아프리카 대륙의 최남단에 자리한 공화국으로, 줄여서 남아공이라고도 부른다.

북쪽은 나미비아, 보츠와나, 짐바브웨와 접해 있으며, 북동쪽은 모잠비크, 스와질란드와 접해 있다. 1966년에 독립한 내륙국레소토가 영토 안에 있으며, 행정 수도프리토리아이다. 2010년 FIFA 월드컵의 개최국이다.

목차

//

[편집]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남아프리카의 역사입니다.

[편집] 백인들의 남아프리카 이주

얀 반 리베크의 도착(챨스 벨)

현재 남아프리카 백인들은 보어인들의 후손이다. 보어인이란 네덜란드에서 이주한 이민들로써,이들은 흑인들을 착취하여 다이아몬드를 채굴했다. 물론 채굴활동을 통한 이익은 백인들만 가졌을 뿐, 흑인들에게는 돌아가지 않았으며, 오히려 같은 일을 하고도 백인에 비해 4-10배나 차이나는 낮은 임금을 받았다.심지어는 전기, 수도, 교통, 공공의료등의 공공혜택도 흑인들은 받지 못했기 때문에, 1990년대까지도 흑인들의 50%가 수돗물, 전기, 공공의료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백인들의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을 확고하게 하기 위해 백인들은 교육을 악용한다. 우선 학교에서는 흑인들에게 백인들을 위해 봉사하는 노예노동만 가르칠 뿐, 학문을 가르치지 않았다. 그래서 흑인들은 읽고 쓰는 법조차도 모르는 무식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백인교사들은 흑인의 종교와 문화는 미신이고, 야만적이라고 가르쳐서, 흑인들이 자신들을 소중히 여기지 못하게 했다. 지금도 일부 흑인들은 문맹이라는 고통을 가슴에 안고 살아간다고 한다.

이러한 인종차별은 아시아계에도 적용되어 모한다스 간디도 남아프리카에서 변호사로 일할때 인도 노동자들을 위한 인권운동을 실천한 바 있다. 당시 남아공의 인도인들은 직업선택, 교통기관이용에서 차별을 받았기 때문이다.

[편집] 보어전쟁과 남아프리카연방의 형성

이 부분의 본문은 보어 전쟁, 남아프리카 연방입니다.

[편집] 인종차별의 고착화와 인종차별저항운동

백인 전용이라는 아파르트에이트 시대의 간판

1945년이후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인종분리정책)라고 불리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은 종교적 그리고 법적으로 정당화되었다. 우선 백인 신도들이 대부분인 네덜란드 개혁교회(DRC,Dutch Reformed Church)에서는 성서를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아파르트헤이트(인종분리정책)를 통한 인종차별을 정당화했는데, 이를테면 바벨탑 사건을 해석할때 바벨탑을 쌓은 인간들이 야훼의 징벌로 흩어졌으니, 인종분리정책으로 흑인, 아시아계등의 유색인종들을 차별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여기게 했던 사례가 있다. 교회안에서도 정의(Justice)와 평등의 실천은 '민감한','미묘한'등의 단어들을 통해 회피할 정도로 백인 기독교신자들은 그들이 만들어낸 인종차별문제에 관심이 없었다.

제도적으로도 1961년 헌법개정, 20여개에 달하는 인종차별법안 제정과 개정이 행해졌는데, 하나같이 흑인들을 열등한 인종으로 간주하여 차별을 정당화하는 악법들이었다. 이에 대해 흑인들은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폭력항쟁으로 백인들의 부당한 지배와 차별에 저항했는데, 1961년 샤프빌 항쟁, 1976년 소웨토 항쟁, 1986년 인민항쟁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 백인들은 흑인항쟁의 배후에 공산주의가 있다는 공산주의자 딱지 씌우기, 경찰과 정보기관의 탄압과 종족간 분쟁유도로 흑인들의 항쟁을 잔악하고 교활하게 탄압했다.

[편집] 남아공 기독교계의 인종차별 반대투쟁

남아공 기독교계에서도 백인들의 흑인과 유색인종에 대한 인종차별에 저항했다.1949년 백인 성직자들이 주도한 남아프리카 교회협의회(SACC,South Africa Council of Churches)회의에서는 '다인종사회에서의 그리스도인(기독교인)'이라는 주제로 모든 사람은 평등하며, 교육, 직업, 선거의 기회와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남아공 교회의 인종차별저항은 1980년대 가장 활발해졌는데, 흑인성직자인 데스몬드 투투 성공회 주교(남아공 성공회 케이프타운 전 교구장), 베이어 나우데,신학자 프랭크 치카네(현재 음베키 대통령의 비서실장)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카이로스문서》(Kairos doc-ument)[1] , 《다마스커스 가는 길》(Road to Damascus)[2]이라는 신앙고백으로 인종차별저항조직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정계나 노동조합에서 일하는 기독교인들도 인종차별반대투쟁에 참여했으며, 진보신학자들은 대한민국민중신학처럼 민중역사의 주체로 해석한 남아프리카 흑인신학을 통해 인종차별에 대한 저항의식을 보였다.

[편집] 인종차별 폐지와 과거사의 청산

로벤 섬의 감옥 건물

흑인들과 교회의 저항을 받은 백인지배자들은 1990년 인종차별 정책을 폐지하고, 넬슨 만델라를 비롯한 흑인지도자들을 석방해야 했는데, 이는 아파라트헤이트 즉, 인종차별정책이 부당하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흑인들과의 협상을 통해 경제적 기득권도 계속 유지하고, 백인들의 차별과 폭력에 대한 흑인들의 보복을 피하려는 계산에 의한 것이다.실제로 흑인들은 여러차례에 걸친 무장항쟁을 통해 자신들을 탄압하는 백인들에게 저항하였다.

199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역사 최초로 흑백연합정부(흑인들의 아프리카민족회의와 백인들의 국민당 연합)가 수립되었으며, ANC(Africa National Congress,아프리카 민족회의)가 독자적으로 세운 귀국망명자위원회와 'ANC회원들이 자행한 ANC죄수 및 구금자에 대한 만행 및 인권침해조사위원회'에서 영향을 받은 진실과 화해위원회(TRC)설립이 있었다. 진실과 화해위원회는 성공회 대주교데스몬드 투투 대주교가 의장으로 활동했으며,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정직하게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면 민사상 책임을 면제해주는 방식으로 과거사청산을 실시하였다. 이는 가해자들의 심리적인 부담감을 덜어줌으로써 진상규명을 정확하게 하려는 목적에 의한 것이었다. 그 결과 인종차별시대에 경찰과 방위군들이 국가가 위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인권이 무시되어도 된다는 국가주의 논리로 ANC활동가, 흑인들의 인권을 옹호하는 사람등을 고문하거나 살해했으며, 시체는 소각하거나 암매장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종차별이라는 사회구조적인 죄의 수혜자들인 백인의사들과 농부들이 상처가 남지 않는 고문방법을 알려주거나 자신의 농장을 고문장소로 제공했으며, 경찰이나 방위군이 흑인들을 ANC에 잠입시켜서 내부분열을 조장하면 보수적인 언론들이 흑인들끼리 치고받고 싸운다며 악의적인 보도를 함으로써 인종차별을 정당화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3]

[편집]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문제점

아르놋 발전소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백인들이 농지의 87%를 가질정도로 심각한 빈부의 격차, 아파라트헤이트로 인해 사회의 윤리적 가치관이 손상됨에 따른 낮은 도덕성[4]등의 문제들을 갖고 있다.

또한 과거 인종차별시대의 악습이 남아 있어서 포도주 농장주들이 흑인노동자들에게 정당한 임금을 주지 않고,포도주를 대신 주는 바람에 노동자들이 알코올중독자가 되거나, 산모들의 미숙아 출산 등의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편집] 최근 상황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음베키 대통령이 사임한 이후, 새로운 대통령으로 제이콥 주마가 당선되었다. [5]

[편집] 지리

남아공에서 가장 높은 산맥인 드라켄즈버그 산맥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프리카 대륙의 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대양(대서양과 인도양)에 걸친 2500km가 넘는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기후대는 전체적으로 반건조 기후이지만, 지역별로 변화가 커서, 나미비아 부근의 칼라하리 사막으로부터 모잠비크와의 국경 부근의 아열대 기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오렌지 자유주와 나탈 경계에는 드라켄즈버그 산맥(최고봉 타바나 은틀레니아는 표고 3,482m)이 있다. 케이프주의 내륙 대지의 남쪽은 해안선과 병행해서 달리는 표고 2,000∼2,700m의 산맥이 있다. 해안지방과 하천유역은 농업에 적합하다. 남아프리카 최대의 오렌지강이 국토의 중앙을 횡단하여 대서양으로 흘러들고 있으며 그밖에 림포포강, 발강 등이 있다.

[편집] 기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남반구에 위치하고 있어 4계절이 대한민국과 반대이며, 습한 지역보다는 건조한 지역이 많다. 과도한 목장으로 인한 사막화가 진행중이다. 남서부는 겨울에 비가 많은 지중해성 기후, 북동부는 아열대성 기후이다. 트란스발의 고저에는 겨울에 서리가 내리며 여름에는 적당한 양의 비가 내린다. 강우량은 서에서 동으로 갈수록 많아지며 여름 6개월 동안에 집중된다.

[편집] 주민

인구밀도 지도
     <1 /km²      1–3 /km²      3–10 /km²      10–30 /km²      30–100 /km²      100–300 /km²      300–1000 /km²      1000–3000 /km²      >3000 /km²
많은 이민자들이 무개개 국가를 형성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4천 480만 주민은 문화, 언어, 신앙등이 저마다 달라 다양성이 넘친다. 200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통계청(Statistics South Africa)의 인구 조사는 응답자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다섯 가지 인종 구분 가운데 하나로 고르게 하였는데, 마지막 구분인 ‘특기하지 않음 또는 기타’는 답한 수가 무시할 만큼 적어 생략되고 나머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아프리카인 (Black African) 79.0%
  • 백인 (White) 9.6%
  • 유색인 (Coloured) 8.9%
  • 인도인 또는 아시아인 (Indian or Asian) 2.5%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 대부분이 스스로를 아프리카 흑인이라고 밝혔지만, 이는 문화상으로나 언어상으로나 균일한 집단이 아니다. 주요 민족은 줄루족, 코사족, 바소토족(남 소토), 바페디족(북 소토), 벤다족, 츠와나족, 총가족, 스와지족, 은데벨레족 등이다. 줄루족, 코사족, 바페디족, 벤다족 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만 있다.

다른 집단들은 거주지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이웃나라와 겹친다. 바소토족은 레소토의 주요 민족이다. 츠와나족은 보츠와나의 다수 민족, 스와지족은 스와질란드의 다수 민족이다. 은데벨레족은 짐바브웨마테벨렐랜드에도 사는데, 거기서의 민족 명칭은 ‘마테벨레’이다. 하지만 이들은 사실 샤카의 탄압을 빗겨가기 위해 그곳으로 떠나 정착한 줄루족의 후예로 줄루어를 쓴다. 총가족은 모잠비크 남부에도 거주하는데, 거기서는 샹간족으로 알려져 있다.

백인은 대부분 네덜란드인, 독일인, 프랑스위그노, 영국인 등 식민 이주자들의 후손이다. 언어상으로는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영어를 사용하는 집단으로 크게 나뉜다. 지난 한 세기 동안 이민해 온 소수 집단은 다른 언어를 쓰기도 한다. 백인 인구는 낮은 출산율과 국외 이민으로 줄어들고 있다.

유색인(Coloured)이란 명칭은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서 들여온 노예, 당시 희망봉 주변에 살던 원주민인 코이산족, 원주민인 아프리카 흑인, 네덜란드인/아프리카너인영국인을 비롯한 백인, 자바인, 말레이인, 인도인, 마다가스카르인, 그 외 포르투갈인버마인을 비롯한 여러 유럽·아시아인 등 다양한 집단이 혼혈된 후손을 이르는데,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 아프리칸스어를 쓴다. 코이산족이라 불리는 이들은 피부색이 옅고 키가 작다는 데서 함께 묶어서 다루는 두 집단을 함께 일컫는다. 이들은 유럽인들이 ‘호텐토트’라 부른 농경인 코이코이족과 수렵 채집인 부시먼이다. 또 더 최근에 들어온 유색인 집단도 있는데, 옛 로디지아(현 짐바브웨)와 나미비아에서 들어온 유색인과 인도버마에서 인도와 버마의 독립 이후 희망봉을 찾아온 영국인-인도인, 영국인-버마인 혼혈인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시아인은 대부분 인도계이다. 상당수는 19세기에 당시 나탈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동부 해안의 사탕수수 농장에 일하러 온 계약 노동자이다. 약 10만 명쯤 되는 화교도 살고 있다.

[편집] 언어

남아공 언어지도.
     Afrikaans      English      Ndebele      Xhosa      Zulu      Northern Sotho      Sotho      Tswana      Swazi      Venda      Tsonga      None dominant

영어를 비롯하여 아프리칸스어, 나머지 9개의 토착어 등 총 11개 공식어가 있다. 그러나 정부의 발행 문서나 인터넷의 문서엔 대부분 영어가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법적으로 11개를 공식어로 지정했다는 것은 영어에 대해 독립권을 부여한 것이다. 넬슨 만델라에 의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가 현재와 같이 된 것이다. 그의 소원은 1961년에 탈퇴한 영국 연방에 다시 가입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아프리칸스라고 불리는 백인은 다양한 국적의 백인인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사용자의 후손으로 비록 그 중 다수가 인종 차별 정책에 직·간접적으로 동의했다고 할지라도, 영어를 사용하는 백인보다는 훨씬 본국과의 유대도 없을뿐더러, 4백 년가량이나 아프리카에서 살아 왔기에 영어를 사용하는 백인보다는 아프리카적인 요소가 있다.

또한 아파르트헤이트(분리, apartheid, 어미 허이트-heid는, 독일어 어미 하이트-heit, 불어의 망-ment에 해당하는 명사형 접미사다.)라는 것도 영국인이 만든 법을 행했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물론 그렇다고 아파르트헤이트를 지지해서도 안될 것이다. 현재 국법에 따르면 아파르트헤이트를 지지하는 자는 사형 처리된다.

[편집] 종교

전 국민의 8할 가량이 장로교 등의 개신교 신자로, 이는 네덜란드에서 로마 가톨릭의 박해를 피해 이민온 보어인이 장로교인이었기 때문이다. 이들 보어인은 자신들의 신앙을 아파르트헤이트에 이용하여, 백인은 구원받을 사람으로 선택받았으나, 흑인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남아프리카의 종교를 생각하면서, 이 시대의 아프리카성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식민주의자들이 선교사를 앞세워서 침략의 도구로 퍼뜨린 종교가 자신의 구원의 형상이 되었다. 마치 프랑스의 식민지에서 태어난 흑인들이 네그리뛰드를 주창했을 때, 불어는 그들에게 무엇인지 고민했을 때와 같은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외 1890년성공회 선교사들이 복음을 전하면서 형성된 성공회는 아파르트헤이트시절 인종차별에 맞서 사회운동을 하였다. 그 실례로 데스몬드 투투주교는 성공회주교이다.

[편집] 문화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다종교사회이고 피부색에 의해 여러 집단으로 나누어져 있다. 아프리카인(人)과 영국인 모두 어느 한쪽으로 섞이는 것을 원하지 않아 전통의 흑인문화는 크고 작은 여러 집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통 흑인문화는 도시가 아닌 지역에 여전히 많이 남아 있으며, 남성의 힘과 정신을 하나의 신으로 여기고 일부다처의 문화가 허용된다. 또한 부와 제물의 상징으로 양을 키우는 것도 문화의 한 형태이다.

[편집] 스포츠

버스 퍼레이드를 하는 스프링복스, 2007 럭비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영연방의 일원으로 럭비, 축구, 크리켓 같은 영국식 스포츠가 인기이다. 올림픽에서는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때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는 데, 그때까지만 해도 백인들만 참가하며 우승하기 마련이었다. (1964년부터 정치적 문제로 7개의 대회에 불참) 럭비 월드컵에서는 1995년2007년 우승하였고, 월드컵 축구 팀은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때부터 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 6월 12일부터 7월 11일까지 케이프타운의 그린 포인트 스타디움, 더반의 더반 스타디움, 요하네스버그의 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사커 시티 스타디움, 블룸폰테인의 프리 스테이트 스타디움, 포트 엘리자베스의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 넬스프루트의 음봄벨라 스타디움, 볼로콰네의 피터 모카바 스타디움, 루스텐버그의 로얄 바포켕 스타디움, 프리토리아의 로프터스 버스펠드 스타디움에서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이 개최된다.

남아공 출신 축구선수 퀸튼 포춘은 영국 프리미어 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South Africa Provinces numbered.png

입법 수도는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는 블룸폰테인, 행정 수도가 프리토리아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행정구역은 9개 주로 이루어져 있다.

번호 주도 면적(km²) 인구
1 웨스턴케이프 주 케이프타운 129,370 5,278,585
2 노던케이프 주 킴벌리 116,320 3,271,948
3 이스턴케이프 주 비쇼 169,580 6,527,747
4 크와줄루나탈 주 피터마리츠버그 92,100 10,259,230
5 자유 주 블룸폰테인 129,480 2,773,059
6 노스웨스트 주 음마바토 116,320 3,271,948
7 하우텡 주 요하네스버그 17,010 10,451,713
8 음푸말랑가 주 넬스푸르트 79,490 3,643,435
9 림포포 주 폴로콰네 123,900 5,238,286
Total 1,219,080 48,502,063

[지형 및 기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프리카 남쪽에 위치한 나라로 국토의 대부분이 고원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동쪽 인도양 해안을 따라 드라켄즈버그(Drakensberg) 산맥이 활 모양으로 뻗어 있다. 이 나라는 내륙 지방이 건조 기후 지역인데 비하여 동쪽 지대는 온난 습윤 기후와 서안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고, 남서쪽 해안 지대는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

[주민 구성과 인종 차별] 본래 이 지역에 살던 원주민은 반투 니그로 족과 호텐토트 족 그리고 부시먼 족이었으나, 호텐토트 족과 부시먼 족은 반투 니그로 족과 유럽인들에게 쫓겨 칼라하리 사막 주변으로 옮겨 갔고, 지금은 주로 보어 족과 영국계의 백인들이 거주한다. 백인들은 전체 인구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지만 정치·경제적인 실권을 쥐고 있으며 흑인들에 대해서는 철저한 인종 차별 정책을 쓰고 있다.

[주요 산업]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농목업이 발달하여 남부 고원 지대에서는 옥수수가 많이 생산되고 서부 지역에서는 밀이 많이 생산된다. 또한 지중해성 기후 지대에서는 밀과 함께 포도, 오렌지 등이 산출되기도 한다. 한편 내륙의 건조한 초원 지대에서는 양을 많이 기르는데, 양모를 수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나라의 가장 중요한 산업은 광공업이다. 지하자원으로 금, 다이아몬드, 우라늄, 백금, 망간, 크롬, 안티몬, 석탄, 철광석 등이 산출되는데, 대부분이 트란스발(Transvaal) 주에 집중되어 있다. 금은 세계 전체 생산량의 60% 정도가 산출되는데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가 그 중심지다. 다이아몬드는 세계 전체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하며, 킴벌리(Kimberley)에서 특히 많이 생산된다.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프리카에서 공업이 가장 발달한 나라로 제철·기계·화학 공업 등이 특히 발달하였다.

[주요 도시] 수도인 프리토리아(Pretoria)는 내륙 고원에 위치한 도시로 연방 정부가 있다. 그리고 가장 오래 된 항구 도시인 케이프타운(Cape Town)은 교통의 중심지이며, 연방 의회가 있는 곳이다.

[보어 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남부에 많이 거주하는 네덜란드계 백인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인 인구 중 60%를 차지하며 남아프리카의 실권을 잡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차별 정책을 가리키는 말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국내의 비(非)백인에 대하여 버스나 열차, 호텔이나 식당의 이용 등 일상생활의 여러 면에서 차별 정책을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제적인 비난과 인종 차별 반대 운동의 고조로 인종 차별 정책이 서서히 완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참정권·교육 제도·노동권에 대한 차별 등 근본적인 면에서의 차별은 폐지되지 않고 있다. 한편 정부는 국내외의 인종 차별 정책 비난에 대처하기 위해 백인과 아프리카 인이 각기 다른 지역에서 따로따로 발전해 간다고 하는 분리 발전 정책을 실시하고, 10개의 자치 구역인 블랙스테이트(Black State, 옛 반투 홈랜드)를 만들어 서서히 독립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 연합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 상황이다.

넬슨 만델라.

[편집] 대한 관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한국 전쟁 때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대한민국(남한)을 지원하였으며, 이후에도 친서방과 반공을 대외정책의 기조로 삼았으므로, 대한민국(남한)의 입장을 적극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 나라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따른 국제적 여론으로 정식 외교관계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인종차별정책이 폐지된 후 1992년 12월 1일 뒤늦게 수교하게 되었다. 수교 후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어, 넬슨 만델라 대통령이 1995년 방한하여 큰 환영을 받았으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나라의 하나가 되었다. 한편, 북한과는 1998년 수교하였다.

[편집] 주석

  1. 카이로스는 하느님의 구원사적인 시간을 일컫는 헬라어 신학용어이다. 신학적으로 야훼께서 모세를 통해 출애굽 역사를 이루신 시간이나 그리스도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신 시간, 앞으로 하느님 나라 도래를 통해 종말론적인 구원을 이루실 시간이 카이로스이다. 그외 헬라어로 시간을 일컫는 용어로 크로노스가 있는데, 이는 달력으로 알 수 있는 시간을 일컫는다.
  2. 신학적으로 다마스커스바울로(사울)가 예수를 만나, 그리스도 교인이 된 장소를 일컫는다. 따라서 기독교에서 다마스커스는 시리아의 지명이 아닌 삶의 방향을 그리스도께 맞추는 회심을 일컫는다.
  3. 《용서없이 미래없다.》/데스먼드 투투 지음/홍종락 옮김/홍성사
  4. 2000년대 흑백장로교회가 통합된 남아공 연합장로교회 총회장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낮은 도덕성 문제에 대해 2시간 30분이나 설교한 적도 있다.
  5. "남아공 새 대통령에 모틀란테"
  6. Euroweather - Climate averages: Cape Town, South Africa.

[편집] 바깥 고리

Commons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혹은 CC-SA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을 따릅니다.

출처 : 자유토론
글쓴이 : 각시탈 원글보기
메모 :

'교양.에티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후 칠계/  (0) 2013.07.25
[스크랩] 문학(文學)과 통섭(通涉)/수필  (0) 2013.07.15
[스크랩] Re: 행복이 무엇인가요?  (0) 2013.01.25
친구에 관하여/  (0) 2012.12.03
데일 카네기를 읽으며/  (0) 201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