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 박두진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넘어 산 넘어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넘어서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 먹고, 이글 이글 애띤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달밤이 싫어, 달빛이 싫어,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어, 아무도 없는 뜰에 달밤이 나는 싫어…….
해야, 고운 해야. 네가 오면 네가사 오면, 나는 나는 청산(靑山)이 좋아라.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이 좋아라. 청산이 있으면 홀로라도 좋아라.
사슴을 따라 사슴을 따라, 양지(陽地)로 양지로 사슴을 따라, 사슴을 만나면 사슴과 놀고, 칡범을 따라 칡범을 따라, 칡범을 만나면 칡범과 놀고…….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꿈이 아니래도 너를 만나면, 꽃도 새도 짐승도 한자리 앉아, 워어이 워어이 모두 불러 한자리 앉아 애띠고 고운 날을 누려 보리라.
- 상아탑 6호(1946년 5월)
.........................................................................
이 작품은 8.15광복의 기쁨에다 민족적 이상과 소망을 담은 시로 알려져 있다. '해'는 생명의 근원이며 창조의 어머니로서 경이와 희열의 대상이다. 어두운 시대를 밝혀줄 새로운 세계의 빛을 염원하는데,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로 힘차게 솟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해가 뜨면 청산이 살아나고,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은 ‘사슴’과 ‘칡범’ 그리고 ‘꽃도 새도 짐승도’ '모두 불러 한자리 앉아' '애띠고 고운 날을‘ 누리게 하리라.
이들은 아무데서나 노는 것이 아니라 ‘양지로 양지로’ 지향하며 논다. 양지는 해가 없으면 생길 수 없는 자리이다. 그리고 사실 ‘칡범’은 ‘사슴’의 천적으로 공존하기 어려운 관계이다. 현실적으론 함께 평화롭게 지내기 힘든 사이지만 이상향인 ‘청산’에서는 가능하다. 이 청산이 ‘깃을 치’기 위해서는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해’는 그냥 날마다 뜨는 그런 해가 아니라 청산을 이상향으로 만들 어마어마한 존재이다.
그런데 ‘해’를 ‘광복’의 상징으로만 봐도 좋은가 라는 의문은 남는다. 해방만 되면 이 땅이 곧장 이상향으로 탈바꿈된다는 생각은 너무나 순진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상세계에 대한 강력한 희구의 반영이라 이해할 수도 있지만, 시의 발표 시기가 이미 광복을 이룬 시점이란 것과 시인이 독실한 크리스챤인 점을 들어 예수의 재림을 의미한다는 시각도 있다. 따라서 이 시를 시인의 이상향에 대한 종교관을 서술한 작품이라고도 해석한다.
하지만 지금의 시점에서는 지난 역사와 종교적 미래에 그 의미를 묶어두기보다는 분단과 미완의 광복 상황에서 민족공존과 통합의 원리, 지향할 가치로서의 ‘해'로 해석되는 것이 보더 진취적이리라. 남북 간 대화해와 평화를 바라는 마음으로 조국의 밝고 원대한 이상향을 노래한 시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지 싶다. "이 한 편의 시로써 박두진은 유언 없이 죽을 수 있는 인간이 되었다."고 한 평론가 조연현의 극찬도 그 연장에서 이해하고 싶다.
권순진